굿포스트

바른 정보를 전하는..

  • 2025. 4. 3.

    by. 굿포스트

    목차

      반응형

      전기충격기까지 등장… 尹 선고일 기자 안전 ‘비상’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인 4월 4일을 앞두고, 전국 주요 언론사들이 기자들의 신변 보호에 비상 체제를 가동하고 있다. 일부 기자들은 전기충격기와 후추 스프레이 등 호신용 장비를 개인적으로 챙기거나, 사내의 지원을 받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기자협회보가 3일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몇몇 방송사에서는 현장 취재 기자들의 자율 구입을 허용하고 구매 비용을 사후 정산해주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기자 한 명은 “전기충격기를 구매했다”며 “경찰 허가 없이도 소지 가능한 제품을 선택했다”고 밝혔다.

      SBS·YTN “호신 장비 지급 안 해… 자극 우려”

      그러나 모든 언론사가 같은 기준을 따르는 것은 아니다. SBS와 YTN은 기자들에게 호신용 장비를 지급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시위 참가자들을 자극해 오히려 위험 상황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정찬승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특임이사(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국제 언론 단체들은 일관되게 무기 소지를 지양할 것을 권고한다”며 “충격기나 스프레이가 필요할 정도의 상황이라면, 현장을 빠르게 이탈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대응”이라고 조언했다.

      사설 경호까지 동원… YTN·KBS 현장보호 강화

      전기충격기까지 등장… 尹 선고일 기자 안전 ‘비상’

       

      한편 YTN과 KBS는 사설 경호 인력을 투입하며 물리적 보호 장치도 강화하고 있다. 김대근 YTN 사건데스크장은 “3·1절 대규모 집회 당시에도 외부 경호 인력을 활용한 경험이 있다”며 “단순한 촬영보조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기자들의 안전 확보를 위한 조치”라고 말했다.

      경찰도 나섰다… 언론사별 경비 인력 배치

      서울 마포경찰서는 상암동 DMC에 위치한 주요 방송사에 경비 경찰을 배치한다. MBC와 YTN, JTBC에는 각 20명씩, 특히 MBC 인근에는 추가로 20명을 배치해 유사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했다. 여의도에 위치한 KBS에는 총 30명의 경찰 인력이 배치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헌법재판소 선고일에 발생할 수 있는 대규모 시위와 혼란을 대비해 유관기관과 협조체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언론사의 요청에 따라 추가 지원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기자 안전, 언론 자유와 어떻게 공존할까

      기자들은 취재 현장에서 물리적 위협에 노출되며 일선을 지키고 있다. 특히 정치적 긴장감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취재 활동의 안전 확보는 단순한 보조 이슈가 아닌, 언론의 자유와 직결된 문제다.

      한 언론계 관계자는 “기자들은 시민들의 알 권리를 위해 현장을 누비지만, 이들이 안전하지 않다면 제대로 된 보도도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위험한 현장, 냉철한 대응 필요

      이번 사태는 단순한 선고일 대응을 넘어, 우리 사회가 기자들의 안전과 언론의 역할을 어떻게 바라보고 준비하느냐를 묻는 질문이다. 무장보다 빠른 대처, 경호 인력의 현장 투입, 경찰 협력 체계 등 다각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

      전기충격기까지 등장… 尹 선고일 기자 안전 ‘비상’



      참고사이트
       [기자협회보]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