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포스트

바른 정보를 전하는..

  • 2025. 3. 31.

    by. 굿포스트

    목차

      반응형

       

      베트남 정부가 하노이와 호찌민을 연결하는 남북 고속철도 건설을 공식화하면서, 한국·프랑스·중국 등 글로벌 주요 국가들의 수주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아시아 최대 철도 인프라 사업 중 하나로 꼽히며, 베트남의 경제 및 교통 체계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베트남 남북 고속철도 건설 확정, 국제 수주 경쟁 본격화


      사업 개요: 총 연장 1,541km, 94조 원 규모의 메가 프로젝트

      베트남 국회는 2023년 말 하노이와 호찌민을 잇는 남북 고속철도 사업을 공식 승인했다. 총 연장 1,541km로, 베트남 전체를 관통하는 이 철도는 20개 성과 도시를 연결하며, 총 23개의 여객역과 5개의 화물역이 설치될 예정이다.

      총사업비는 약 670억 달러(한화 약 94조 원)에 달하며, 베트남 정부는 2027년 착공, 203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완공 시, 기존 30시간이 넘는 하노이~호찌민 간 이동시간이 약 5시간으로 단축될 예정이다.

      한국의 전략: ‘팀코리아’ 구성으로 총력 지원

      한국은 이번 수주전에서 정부와 민간이 함께하는 ‘팀코리아’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을 단장으로 한 수주지원단은 2024년 베트남을 방문, 현지 교통부 장관 및 국회 관계자와 면담을 통해 한국의 고속철도 기술력과 사업 추진 역량을 설명했다.

      한국은 KTX를 통한 고속철도 건설 경험과 유지보수 능력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PPP(민관협력사업) 방식 도입, 기술 이전, 금융 지원 등을 패키지로 제안하고 있다.

      또한 한국철도공사, 현대건설, 포스코건설, 도화엔지니어링 등 주요 기업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본격적인 참여를 준비 중이다.

      베트남 남북 고속철도 건설 확정, 국제 수주 경쟁 본격화

      중국의 공세: 자금력과 가격경쟁력 앞세워 베트남 공략

      중국은 일대일로(BRI: Belt and Road Initiative) 전략의 일환으로 베트남 인프라 시장에 적극적인 투자를 확대해 왔다. 중국교통건설공사(CCCC)는 이미 라오스, 인도네시아 등 인근 국가의 철도 사업을 수주한 바 있으며, 경쟁력 있는 단가와 빠른 공사 속도, 국영 금융기관의 대규모 융자 지원을 내세워 베트남 정부에 접근하고 있다.

      다만, 일부 국가에서의 품질 논란 및 과도한 부채 문제 등이 리스크로 지적되고 있어, 베트남의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

      프랑스의 강점: 철도 강국의 오랜 노하우

      프랑스는 TGV 기술을 앞세운 고속철도 분야의 전통 강국이다. 알스톰(Alstom)을 중심으로 한 프랑스 진영은 기술 신뢰도와 유럽 연합 차원의 외교 지원을 강조하며 수주전에 나서고 있다.

      프랑스는 모로코·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북아프리카 국가의 고속철도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전례를 갖고 있으며, 베트남 정부에 지속적인 외교적 교류와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의 고민: 기술력, 금융, 외교의 3요소가 승부 가를 듯

      베트남 교통부는 철도운영위원회를 발족하고, 각국의 제안을 비교 검토 중이다. 기술력, 공사 기간, 가격뿐 아니라 재정지원, 기술이전, 베트남 기업 참여율, 정치적 신뢰도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겠다는 입장이다.

      자국 기업 데오카(DeoCa) 그룹 등도 고속철도 분야 참여 의지를 내비치며, 해외 기술을 수입하면서도 점차 국산화 비율을 높이려는 장기 전략을 고려하고 있다.

      베트남 남북 고속철도 건설 확정, 국제 수주 경쟁 본격화

       

      향후 일정 및 기대 효과

      남북 고속철도는 2027년 착공, 203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1단계로 하노이빈, 2단계로 빈호찌민 구간으로 나뉘어 진행될 예정이다.

      이 철도는 베트남 경제의 중추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되며, 물류비 절감, 지역 균형 발전, 관광 활성화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동남아시아 철도 네트워크 확장의 교두보가 되어, 베트남이 아세안 중심 국가로 도약하는 기반이 될 수도 있다.

      베트남 남북 고속철도 건설 확정, 국제 수주 경쟁 본격화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