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반응형한국 AI 기업 업스테이지와 트웰브랩스가 글로벌 시장에서 강한 인상을 남기고 있다. 업스테이지는 고성능 소형 LLM '솔라'를 앞세워 미국과 일본에 진출하며, 영상 이해 AI 기술을 보유한 트웰브랩스는 디즈니와 NFL 등 대형 고객을 확보하며 입지를 넓히고 있다.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빅테크의 투자가 이어지며, 한국형 AI 기술의 세계 시장 도약이 본격화되고 있다.
한국의 AI 기술이 단순한 ‘국산 기술’ 그 이상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제는 세계 시장에서 통하는 AI 솔루션으로 진화하며, 글로벌 테크 공룡들의 투자까지 이끌어내고 있는 상황이다. 그 중심에는 바로 업스테이지와 트웰브랩스라는 두 AI 스타트업이 있다. 이들은 각각 고성능 소형 LLM과 영상 이해 AI 기술을 기반으로, 미국, 일본, 유럽까지 그 영토를 확장하고 있다.
글로벌 진출 선언한 한국 AI 기업 ‘업스테이지’
AI 모델인 **‘솔라(SOLAR)’**를 앞세워 본격적인 글로벌 진출을 선언한 기업, 바로 업스테이지다. 이 회사는 한국 대표 AI 스타트업으로 꼽히며, 벌써 1,400억 원이 넘는 투자를 확보했다. SK네트웍스, KT, 산업은행, 마이크로소프트(MS), AMD까지 참여한 이 투자 라인업만 보더라도 그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은 이미 검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솔라는 단순히 국내산 LLM이라는 점을 넘어서 **글로벌 오픈소스 평가 플랫폼인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서 중국의 알리바바 모델을 제치고 세계 1위를 기록했다. 특히 가벼우면서도 높은 성능을 자랑하는 이 모델은 금융, 제조, 의료, 법률 등 산업 맞춤형 AI 솔루션 구축에 최적화되어 있어 해외 고객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일본과 미국을 거점으로 확장 중인 ‘솔라’
업스테이지는 이미 미국과 일본에 법인을 설립했다. 일본에서는 카라쿠리와 손잡고 일본어 특화 LLM ‘신’을 개발했으며, 태국에선 KT 및 자스민 테크놀로지와 함께 태국어 전용 모델도 개발했다. 여기에 파나소닉, AWS 출신 인사를 일본 법인장으로 영입하는 등 철저한 글로벌 인재 전략도 돋보인다.
업스테이지는 오는 6월, 텍스트-이미지 기반 문서 해석까지 가능한 **비전 언어 모델 ‘솔라 DocVLM’**도 선보일 예정이다. 이는 구글, 메타의 최신 모델보다도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며, 최대 100장까지의 문서를 빠르게 요약·질의응답 처리하는 성능을 자랑한다.
‘영상 이해’로 차세대 AI 시장을 이끄는 트웰브랩스
한편, 또 다른 한국 AI 스타트업 트웰브랩스는 영상 기반 초거대 AI를 무기로 전 세계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2021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설립된 이 회사는 영상 분석 모델 ‘마렝고’, 영상 텍스트 생성 모델 **‘페가수스’**를 통해 새로운 영상 AI 시대를 열고 있다.
이 기술은 단순히 영상을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챗GPT처럼 영상을 보고 자연어로 질문하고 요약까지 가능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스포츠,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이유다.
실제로 디즈니, NFL, 캐나다 MLSE, 유럽 자율주행 개발사 등이 트웰브랩스의 고객사로 이름을 올렸다.
아마존도 반한 한국의 영상 AI 기술
트웰브랩스의 모델들은 **아마존의 AI 플랫폼 ‘베드록’(Bedrock)**에 정식으로 탑재되었다. 이는 국내 AI 기술이 글로벌 클라우드 생태계에 편입된 최초 사례로 평가된다. API 하나로 전 세계 사용자들이 트웰브랩스의 기술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 것이다.
여기에 엔비디아, 삼성전자, SK텔레콤, 허브스팟, 스탠퍼드 교수진까지 투자자로 참여하며 총 1,53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이끌어냈다. 이는 단순한 기술적 성과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AI 기업이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명한 사건이기도 하다.
한국 AI 기업의 ‘딥테크 주권’은 가능한가?
기술 패권 전쟁이 심화되는 지금, ‘AI 주권’이라는 개념이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지금까지 AI 기술은 미국이나 중국 중심이었지만, 이제는 한국도 독자적인 AI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기 시작했다.
업스테이지는 한국형 AI 모델의 수출형 성공 사례를 만들고 있고, 트웰브랩스는 영상 이해라는 블루오션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스타트업의 도전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딥테크 산업 전체의 도약을 의미한다.
기술력과 실행력이 빛난다
한국의 AI 스타트업들이 지금처럼 기술력과 실행력을 모두 겸비해 글로벌 시장에서 활약하는 모습은 매우 고무적이다. 특히 업스테이지의 솔라와 트웰브랩스의 마렝고·페가수스는 AI 산업의 다음 단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AI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그리고 그 필수 기술을 대한민국이 직접 만들고 있다는 점, 그것이 지금 우리가 주목해야 할 가장 큰 포인트다.
반응형LIST'바른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리핀 총격사건, 한국인 관광객 사망…안전 주의보 발령 (1) 2025.04.21 베네수엘라 포퓰리즘의 비극: 석유 부국에서 경제 붕괴까지 (1) 2025.04.20 서울 도심에서 펼쳐진 이색 스포츠, 도심속수직마로톤 (0) 2025.04.20 평창 상공서 떨어진 기관총·연료탱크…공군 안전 논란 (0) 2025.04.19 제주 벚꽃축제 식중독 의심자 80명 발생…이유는? (0)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