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포스트

바른 정보를 전하는..

  • 2025. 7. 27.

    by. 굿포스트

    목차

      반응형

       

      정부가 로봇청소기 성능 표기의 혼란을 막기 위해 흡입력 단위를 ‘Pa’에서 ‘W(와트)’로 통일하는 산업표준 개편안을 발표했다. 샤오미나 로보락 등 중국 업체들이 높은 Pa 수치를 강조하며 소비자를 호도한 반면, 삼성이나 LG는 W 기준을 고수해왔다. W는 실제 소비자가 체감하는 흡입력과 더 가까운 수치로, 이번 조치로 인해 중국산 ‘뻥스펙’ 제품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 개정은 소비자 정보 보호와 공정 경쟁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샤오미 청소기 2만Pa vs 삼성 5W, 로봇청소기 흡입력 기준 바뀐다

       

      로봇청소기의 흡입력 표기 단위가 킬로파스칼(Pa)에서 와트(W)로 바뀌는 정부의 산업표준 개정안이 발표되면서, ‘뻥스펙’ 논란에 휘말렸던 중국산 로봇청소기에 제동이 걸렸다. 이번 조치는 소비자의 혼란을 줄이고, 실질적 성능 기준을 통일하자는 의미에서 환영받고 있다.

       

      중국산 로봇청소기, 흡입력 ‘뻥튀기’ 표기로 논란

      샤오미 계열 브랜드인 드리미(Dreame)는 로봇청소기 X50 울트라 모델을 출시하며 “2만Pa의 강력한 흡입력”을 내세웠고, 로보락(Roborock) 역시 1만8500Pa의 스펙을 강조해 소비자를 유혹했다. 하지만 이러한 Pa 단위 표기는 실질적인 청소 성능과 거리가 있다는 전문가의 지적이 이어져 왔다.

       

       

      독일 프리미엄 초강력 리모컨 냉풍기 이동식 에어쿨러 - 냉풍기 | 쿠팡

      현재 별점 4.3점, 리뷰 532개를 가진 독일 프리미엄 초강력 리모컨 냉풍기 이동식 에어쿨러!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냉풍기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 본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Pa 단위, 실제 흡입력과 무관한 수치?

      Pa는 진공 상태를 나타내는 압력 단위로, 흡입 파이프를 막아둔 상태에서도 높은 수치가 나올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실제로 얼마나 흡입되는지, 먼지를 얼마나 제거할 수 있는지를 알기 어렵다. 즉, 소비자 체감 성능과 일치하지 않는 허상 수치에 가깝다는 것이다.

       

      삼성과 LG는 일찌감치 W 단위로 표기

      삼성전자의 비스포크 AI 스팀 로봇청소기는 흡입력을 5W로 표기하고 있다. 이는 시험 장비로 실제로 먼지를 빨아들인 양을 기준으로 측정한 수치로, 소비자 체감 성능에 가장 가까운 지표로 인정받고 있다. LG전자도 곧 W 단위를 공식 적용할 방침이다.

       

      정부, KS표준 개정 통해 ‘W 단위 통일’ 예고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로봇청소기의 흡입력 표기를 앞으로 W 단위로 통일하는 KS 산업표준안을 발표했다. 건식뿐 아니라 건습식 제품 역시 흡입력은 W로 표기해야 한다. 이를 통해 불공정 경쟁과 소비자 혼란을 줄이고, 실제 성능에 기반한 공정한 정보 제공을 기대할 수 있다.

       

      중국산 제품도 국내 판매 시 W 기준 강제 적용

      이제는 중국산 로봇청소기라도 한국 내에서 판매될 경우 W 단위로 흡입력을 표시해야 한다. 이는 곧 Pa로 과장 광고를 하던 중국 제품들의 마케팅에 강한 제약을 주게 된다. 전문가들은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는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

       

      IEC 국제표준으로도 확산 예정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도 W 단위를 중심으로 흡입력 기준을 통합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국내의 표준화 흐름은 곧 글로벌 기준으로도 확대될 전망이다.

      숫자보다 중요한 ‘실제 성능’

      그동안 숫자만으로 소비자를 속이는 마케팅은 반복되어왔다. 로봇청소기의 경우 Pa 단위의 허상 수치에 현혹되지 말고, 실제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흡입력 기준인 W 단위를 기준으로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앞으로는 명확한 기준을 통해 현명한 소비가 가능해질 것이다.

       

      샤오미 청소기 2만Pa vs 삼성 5W, 로봇청소기 흡입력 기준 바뀐다

       

       

      참고자료: [네이버 뉴스] 

       

      반응형